...

코발트 층이 강화하는 그래핀 이종접합 구조의 스핀트로닉스 잠재력

스핀트로닉스는 전자의 스핀을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작동 속도를 향상시키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입니다. 그러나 재료의 스핀 구조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데는 여전히 기술적 과제가 존재합니다. 최근 스페인–독일 공동 연구팀은, 그래핀을 코발트 및 이리듐과 같은 중금속과 층층이 적층할 경우, 스핀–궤도 결합 강화, 스핀 기울기 증가 등 향상된 양자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스핀트로닉스 기술의 발전에 매우 유리한 요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스핀트로닉스는 전자의 스핀 특성을 이용해 논리 연산과 데이터 저장을 수행하는 기술로, 속도와 에너지 소비 면에서 기존 반도체를 능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그러나 재료 내에서 스핀 구조를 생성하고 제어하는 데에는 여전히 큰 기술적 과제가 존재합니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2차원 벌집 구조로 배열된 물질로, 스핀트로닉스 응용에서 유망한 후보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그래핀이 중금속 박막 위에 증착되면, 계면에서 강력한 스핀–궤도 결합이 발생하며, 다양한 양자 효과를 유도합니다. 여기에는 라시바 효과(Rashba effect, 에너지 준위의 스핀–궤도 분리) 및 Dzyaloshinskii-Moriya interation 상호작용(스핀 배열의 기울어짐)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스핀 기울기 효과는 소용돌이형 스핀 구조(Skyrmion)의 안정화에 기여하며, Skyrmion은 미래 스핀트로닉스 기술의 핵심 요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지식 플러스: 스핀은 전자의 고유한 특성으로, 자기성을 발생시키며 전자 소자의 동작에 영향을 미칩니다. 기존의 전자 소자와 달리, 스핀을 제어함으로써 더 다양한 가능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자성 물질과 비자성 물질이 접촉할 때, 상호 작용이 발생하여 “자기 근접 효과”가 나타나며, 이러한 특성은 현재 자성 메모리 등 다양한 자기 저장장치에 폭넓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스페인과 독일의 공동 연구팀은 그래핀과 중금속(예: 이리듐) 사이에 강자성 금속인 코발트의 단일층을 삽입할 경우, 다양한 양자 효과가 현저히 강화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습니다. 연구팀은 이러한 효과가 다기능 스핀트로닉스 소자에 실제 적용될 수 있도록, 절연 기판 위에 샘플을 성장시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독일 헬름홀츠 베를린 연구센터(HZB)의 BESSY II 시설에서 수행된 광분광 분석 결과에 따르면, 그래핀은 코발트 층과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코발트를 통해 이리듐 층과도 간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그래핀과 중금속 간의 상호작용이 강자성 코발트 층에 의해 매개되며, 에너지 준위 분리 및 스핀 기울기 효과를 더욱 강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ZB의 물리학자 Jaime Sánchez-Barriga 박사는, 코발트 단일층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스핀 기울기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세 층의 코발트 단일층에서 가장 뚜렷한 효과가 나타난다고 밝혔습니다.이 결과는 실험 데이터뿐만 아니라, 밀도 범함수 이론(DFT) 계산을 통해서도 검증되었습니다. 두 가지 양자 효과가 상호 영향을 주며 동시에 강화되는 현상은 이번 연구의 핵심 발견으로, 매우 참신하고 예측하지 못했던 결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가 돌파구를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은, BESSY II의 첨단 스핀 각 분해 광전자 분광 기술(Spin-ARPES) 덕분이었습니다. Sánchez-Barriga 박사는 이 기술을 통해 연구팀이 재료 내의 스핀 기울기 효과 및 Rashba형 스핀–궤도 분리 현상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으며, 심지어는 전자 스핀 자체보다 더 두드러진 스핀 구조의 유도 효과까지도 분석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이처럼 높은 민감도의 측정 장비를 갖춘 기관은 극히 드물기 때문에, 이번 연구 성과는 그래핀 기반 이종접합 구조가 차세대 스핀트로닉스 소자에 적용될 수 있는 확고한 기반을 마련해주었습니다. 향후, 다양한 강자성층 또는 중금속 조합을 탐색함으로써, 새로운 양자 효과의 발견과 함께 스핀트로닉스 기술의 실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 문헌

  • 스핀트로닉스의 돌파구: 코발트 층 삽입으로 그래핀의 양자 잠재력 개방
  • Spintronics Breakthrough: Unlocking the Quantum Potential of Graphene With Cobalt
  • “강자성체 매개 중금속 전자 혼성화가 그래핀 내 Rashba형 스핀 텍스처를 촉진한다”, 저자: Beatriz Muñiz Cano, Adrián Gudín, Jaime Sánchez-Barriga, Oliver Clark, Alberto Anadón, Jose Manuel Díez, Pablo Ollerers-Rodríguez, Imando rançois Bertran, Donya Mazhjoo, Gustav Bihlmayer, Oliver Rader, Stefan Blügel, Rodolfo Miranda, Julio Camarero, Miguel Angel Valbuena, Paolo Perna, 2024년 6월 7일, ACS Nano. DOI: 10.1021/acsnano.4c02154

(대표 이미지 출처: Dall-E/arö/헬름홀츠 베를린 연구센터)


연마 분야에서 저희는 고객 맞춤형 조정을 제공하며, 가공 요구에 따라 비율을 조정하여 최고의 효율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지 저희에게 문의해 주십시오. 전문 상담원이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맞춤 견적이 필요하신 경우에도 언제든지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고객센터 운영시간: 월요일 ~ 금요일 09:00 ~ 18:00

전화번호:07 223 1058

궁금한 주제가 있거나 전화로 설명하기 어려운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페이스북 메시지로 편하게 문의해 주세요~

HONWAY 페이스북:https://www.facebook.com/honwaygroup


관심 있을 만한 글…

[wpb-random-posts]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