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
경옥(Jadeite Jade)는 대만 학계에서는 ‘휘옥’이라 부르며, 중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경옥’ 또는 ‘비취’라는 명칭을 사용합니다. 보석급 경옥은 주로 미얀마에서 산출되기 때문에, 시장에서는 이를 ‘미얀마 옥’이라고도 부릅니다.
‘경옥’이라는 명칭은 오랫동안 학계에서 경옥의 경도가 연옥보다 전반적으로 높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하지만 대만대학교 지질학과의 탄리핑 교수는 일부 대만산 연옥의 경도가 경옥보다 더 높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에 따라 국립편역관에 ‘경옥’이라는 용어를 ‘휘옥’으로 정정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경옥 Jadeite Jade
- 화학 성분:나트륨-알루미늄-규산염 [NaAl(SiO3)2], 철, 크롬, 망간 함량에 따라 색상이 달라짐
- 결정계:단사정계
- 광물 종류:경옥, 녹휘석, 나트륨-크롬휘석, 노오석
- 구조:과립상, 얽히고 섞인 상호결정 구조
- 색상:빨강, 주황, 노랑, 초록, 보라, 검정, 흰색
- 경도:6.5–7
- 비중:3.30–3.36
- 굴절률:1.66
- 산지:미얀마, 러시아, 일본, 과테말라
경옥 상업적 가치
비취의 색상은 그 가치를 평가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이며, 이는 보통 종, 색, 수, 지 네 가지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그중에서도 선명한 에메랄드 그린(정양록) 색상은 가장 고귀하고 가치 있는 색으로 여겨집니다.
같은 투명도와 결정 구조가 같을 경우, 색상에 따라 비취의 가치는 10배, 심지어 100배 이상 차이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품질이 중상급인 갈색 또는 자주색 계열의 비취 팔찌는 수백만 대만 달러 정도이지만, 선명한 녹색 비취 팔찌는 수천만 대만 달러에 이를 수 있습니다.
종
비취에서 말하는 ‘종’이란 색상, 수두, 지자의 종합적인 조건에 따른 상업적 분류를 의미한다. 유리종은 투명도가 매우 높고 지자가 깨끗한 것이 특징이며, 빙종은 유리종보다는 투명도와 청정도가 다소 떨어지지만 여전히 맑은 편이다. 찹쌀빙종은 광투과성은 있으나 이미지 투과성은 낮아 약간 뿌연 느낌을 주며, 콩종은 입자가 굵고 수두가 일반적으로 낮다. 철용생종은 전체적으로 녹색을 띠지만 거의 불투명한 나트륨-크롬 휘석 비취를 통칭한다.
색
비취에서 말하는 ‘색’은 색상을 의미하며, 중국의 연옥과는 달리 비취는 색상으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다. 보석학에서는 GIA에서 개발한 색상 등급 비교 시스템을 기준으로 색을 분류하며, 여기에는 색조(Hue), 명도(Tone), 채도(Saturation)의 세 가지 요소가 포함된다.
색상에서 색조는 색의 구체적인 종류를 뜻하고, 명도는 색의 밝고 어두운 정도를, 채도는 색의 선명하고 풍부한 포화도를 의미한다.
비취는 불균질한 다결정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색의 기본 요소 외에도 ‘균일도’가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색상의 세 가지 요소에 균일도를 더한 것이 바로 비취 색상 평가의 핵심인 ‘정, 농, 양, 균’이다. 비취는 색상이 가격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색상 등급의 중요성이 매우 크며, 색상 등급의 기본 원칙은 바로 이 네 글자인 ‘정, 농, 양, 균’으로 요약된다.
- 정: 색조를 의미하며, 색조가 순수하고 정확할수록 등급이 높다.
- 농: 명도를 의미하며, 농담의 깊이나 연함을 나타낸다. 너무 진하거나 옅지 않고 적절할 때 가장 좋다.
- 양: 채도가 높고, 충분히 선명하고 화려한 색을 의미한다. ‘양’은 ‘화려함’과 같으며, 색상이 화려할수록 등급이 높다.
- 균: 색상의 균일도를 의미하며, 색이 100% 고르게 분포된 경우를 ‘만색’이라 부르며, 10% 정도만 색이 퍼져 있으면 ‘일분색’이라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균일도를 평가한다.
수
비취에서 말하는 ‘수두’는 비취의 투명도(Transparency)를 의미하며, 비취는 매우 투명한 상태부터 완전히 불투명한 상태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원석 거래에서 사용하는 용어로는 ‘수의 길이’로 투명도의 높고 낮음을 표현하며, 수가 길다는 것은 투명도가 높다는 뜻이고, 수가 짧다는 것은 투명도가 낮다는 의미이다. 상업적으로 비취의 품종을 구분할 때도 주로 이 투명도(수의 길이)에 따라 분류하며, 유리종은 일반적으로 6~9mm 깊이까지 영상이 투과될 수 있다.
지
비취에서 말하는 ‘지’는 비취의 종질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지’는 ‘바탕색’ 또는 ‘지자’라고도 하며, 비취에서 녹색을 제외한 기본 바탕색과 결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 투명도까지 함께 포함되어 ‘지’라는 표현으로 통합되며, 이는 직관적인 시각적 인상에 기반한 평가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리지는 유리처럼 맑고 투명해야 하며, 빙지는 얼음처럼 깨끗하고 투명하지만 유리지보다는 약간 떨어진다. 부용지는 약간의 투명도를 가지며 연한 연녹색을 띠고, 두지는 입자가 굵고 콩처럼 거친 질감을 가지며, 우유지는 질감이 곱고 색상이 유백색을 띤다.